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아이폰에서 동영상 옮기기 완벽 가이드

by 인포노마드 2024. 9. 28.
반응형

아이폰에서 촬영한 동영상을 다른 기기로 옮기는 방법은 다양합니다. 아이폰 사용자라면 사진이나 동영상을 백업하거나 공유할 일이 많을 텐데, 처음 사용하는 경우에는 다소 복잡해 보일 수 있습니다. 아래는 아이폰 동영상을 옮기는 방법에 대해 단계별로 설명하며, 각 방법마다 장단점을 제시합니다. 여러 전송 방식 중 가장 빠르고 편리한 방법을 선택하세요.

아이클라우드(iCloud) 사용하기

아이클라우드는 애플의 클라우드 서비스로 자동 백업 및 동기화가 가능합니다. 아이폰 동영상을 맥북이나 윈도우 PC로 옮길 때, 아이클라우드를 이용하는 것이 가장 간편한 방법입니다.

  1. 아이클라우드 설정
    아이폰에서 '설정'으로 들어가 'Apple ID'를 클릭한 후, 'iCloud'를 선택합니다. '사진'을 켜고 'iCloud 사진'을 활성화하여 아이폰에서 찍은 사진과 동영상을 자동으로 아이클라우드에 백업할 수 있습니다.
  2. 아이클라우드에서 동영상 다운로드
    PC나 맥북에서 아이클라우드 웹사이트에 접속해 Apple ID로 로그인 후, '사진' 탭에서 동영상을 다운로드할 수 있습니다.
  3. 아이클라우드 용량 문제 해결
    아이클라우드는 기본적으로 5GB의 무료 용량을 제공하나, 동영상이 많으면 용량이 금방 차기 때문에 추가 용량을 구매하거나 다른 방법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

에어드롭(AirDrop) 이용하기

AirDrop은 애플 기기 간에 사진, 동영상 등을 빠르게 전송할 수 있는 기능입니다.

  1. AirDrop 활성화
    아이폰에서 제어 센터를 열고 AirDrop을 활성화합니다. '모두에게'로 설정하면 쉽게 기기를 찾을 수 있습니다.
  2. 전송할 동영상 선택
    '사진' 앱에서 동영상을 선택하고 하단의 공유 버튼을 눌러 AirDrop으로 전송할 기기를 선택합니다.
  3. 전송 받기
    파일을 받는 기기에서 수락하면 동영상이 자동으로 다운로드됩니다.

USB 케이블을 통한 파일 전송

USB 케이블을 이용하면 네트워크 없이 대용량 파일도 빠르게 전송할 수 있습니다.

  1. 아이폰과 PC 연결
    아이폰을 USB 케이블로 PC에 연결한 후, 윈도우에서는 '파일 탐색기'에서 아이폰을 찾고, 맥에서는 '이미지 캡처' 앱을 사용합니다.
  2. 파일 전송
    'DCIM' 폴더에서 동영상을 선택해 드래그 앤 드롭 방식으로 PC로 옮길 수 있습니다.

구글 드라이브 또는 다른 클라우드 서비스 사용

아이클라우드 외에도 구글 드라이브, 드롭박스, 원드라이브 같은 클라우드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1. 클라우드 서비스 앱 설치
    구글 드라이브 앱을 아이폰에 설치한 후 로그인합니다.
  2. 동영상 업로드
    '사진' 앱에서 동영상을 선택해 구글 드라이브에 업로드합니다.
  3. PC에서 다운로드
    구글 드라이브 웹사이트나 데스크톱 앱을 통해 동영상을 다운로드할 수 있습니다.

이메일로 동영상 보내기

소규모 동영상 파일은 이메일로 전송할 수 있으나 첨부 파일 용량 제한(20~25MB)이 있습니다.

  1. 이메일 작성
    '메일' 앱을 열고 새로운 이메일을 작성하며, 첨부 파일 버튼으로 동영상을 첨부합니다.
  2. PC에서 다운로드
    수신된 이메일에서 동영상을 다운로드합니다.

파일 앱을 이용한 방법

'파일' 앱을 사용하면 동영상을 외부 저장 장치로 옮기거나 관리할 수 있습니다.

  1. 파일 앱에서 동영상 저장
    '사진' 앱에서 동영상을 선택해 '파일에 저장'을 누릅니다.
  2. 외부 저장 장치로 옮기기
    USB-C 허브나 어댑터를 통해 외부 저장 장치로 동영상을 복사할 수 있습니다.

결론

아이폰에서 동영상을 옮기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으며, 각 방법의 장단점을 고려해 상황에 맞게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빠른 전송이 필요하다면 AirDrop을, 대용량 파일은 USB 케이블을, 파일 백업은 클라우드 서비스를 활용하면 좋습니다. 각 방법을 잘 이해하고 활용하여 동영상을 효율적으로 관리하세요.

반응형